4. 속회의 역사 (미완성/업데이트 중입니다 : 요점만 제시 되어 있습니다)
1. 속회 역사
1.1. 요한 웨슬리(1703-1791): 개신교 역사에서 대표적 소그룹
1.1.1. 신성클럽 Holy Club: 제자훈련 방법, 성경공부를 서로 돕기 위해, 유익한 도서를 읽기 위해, 성찬 참여, 정기적 선행, Methodist 별명 얻음, 웨슬리 운동의 영적 성장 위한 모임
1.1.2. 속회 Class Meeting: 삶의 변화를 위한 최선의 환경(life change), 신앙과 삶을 일치시키기 위한 구조,
1.1.2.1. 신약성경 원리 근거: personal growth, accountability, spiritual stewardship
1.1.2.2. 방법: 다른 사람의 짐을 짊, 사랑으로 진실을 말함, 모든 교인들은 속회에 속하게 함, 교인됨을 인준하는 조직, 주거지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책임성 있게 참석
1.1.2.3. 초점: 구원의 확신, 세상에서 제자도
1.1.2.4. 조직과 순서: 감리교 기본 단위, Society 멤버만, 12명에서 20명까지, 개인 집에서 저녁 8시 시작, 영적 성장위해, 리더는 지난 주 자신의 신앙생활 경험 나눔, 기쁨 슬픔 소망 두려움 갈등, 끝에서 “형제여 사명의 상급을 위해 달려가기로 결단했습니다.” 한 주간 생활을 신앙 관점에서, 찬양 기도 감사 간구, 하나님의 긍휼과 은혜, 보혈로 치유 용서, 형식적 미지근 무관심 진단 고백, 끝에서 축도 헌금
2. 교회 내의 다양한 그룹
2.1. 교회 내의 세 단위: 일대일, 소그룹 속회, 대그룹 전체
2.1.1. 대그룹: 대그룹 구조는 위대하신 하나님의 초월성, 대그룹은 공동체. 자체의 역동성 및 신비가 나타난다.
2.1.2. 일대일: 1:1의 인간관계는 집중과 구체성의 강점
2.1.3. 소그룹 속회: 속회 구조는 친밀하신 하나님의 내재성, 소그룹만의 다이나믹스를 통한 인간 관계의 경험과 그를 통한 치유, 모범, 일치, 소속감, 교제, 나눔 등이 풍성해짐, 하나님 경험이며, 그 안에서 신비한 한 몸을 이루는 작은 공동체 경험, 예수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분이며 영적 가족
2.1.3.1. 소그룹 속회 실천: 선교 헌금, 지체 의식, 형제와 자매 호칭, 가족예배(어린아이로부터 노인까지 같이 드림), 공동체 생활; 속회 이전에 대부분 식사를 함께 한다. 아니면 간식을 준비해서 나눈다. 음식의 나눔도 중요한 속회 모임의 요소이다. 물론 한 사람이 한 가지씩 준비해서 부담이 없게 하는 방법을 쓴다. 속회 모임이 다 끝나면 자유롭게 교제한다.
3. 우리교회 속회
3.1. 실천 강령
3.1.1 첫째, 공동체 경험: 공동체는 속회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이다. 공동체 토양이 안 되면 속회는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공동체 신학에 대한 서적과 공동체 탐방 및 경험을 권면한다.
3.1.2. 둘째, 서로 세움: 속회에서는 상호 세움을 통해 더불어 자라며 공동체를 이루어 한 몸을 경험한다. 이것은 속회의 원동력이다. 상호 관계가 건강할 때 그 속회는 재생산과 증식의 힘을 얻는다. 모든 속도원의 책임감과 상호 헌신 및 사랑으로 세워가는 삶과 사역이 성실하게 실천되어야 한다.
3.1.3. 셋째, 지도자 훈련 및 양육: 속회의 재생산과 증식에는 무엇보다도 모든 사람이 사역자요, 지도자라는 의식을 가지며 실제 이를 위해 헌신해야 한다. 평신도 지도자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세우고 그가 또 다시 다른 속회를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하느냐는 속회 사역의 열쇠가 된다. 유능한 지도자는 자신이 지도자로서 사역을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을 지도자로 발굴하고 세울 수 있는 사람이다. 속회 모임에서 셀 인턴을 세우고 리더가 되기까지 돌보는 것은 리더의 핵심 사역이다.
3.2. 속회 핵심
3.2.1 공동체의 DNA는 예수 그리스도의 임재: 그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나눔과 삶을 총체적으로 성령의 코이노니아이다. 이를 통해 리더의 재생산 및 그를 통한 소그룹의 증식(增殖)이 이루어진다.
3.3. 패러다임 전환: 평신도들에게 과감한 목회의 위임과 동역, 제도적이며 유교적인 권위 의식을 버림, 만인 제사장 신학의 사역적 측면 적용, 교제의 개념에 대한 변화, 공동체 및 지체 의식의 실천
3.3.1. 전략: 첫째,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한 배움과 훈련. 둘째, 설교와 성경공부, 강의 등의 일관성 있는 흐름과 강조. 셋째, 독서 토론과 나눔. 넷째, 외부 현장 탐방 및 체험. 다섯째, 철학이 같은 외부 강사 초빙. 여섯째, 목사의 삶을 통한 도전과 모범 등이다.
3.3.2. 의식 변화 영역: 복음, 교회론, 하나님 나라, 사람의 중요성, 문화
4. 현대 교회 소그룹 모델: 셀그룹 순서 4W
4.1. 첫째, 환영(Welcome). 어색함을 깨고 모임의 분위기와 상호 친밀감 형성을 위한 시간으로 간단한 게임이나 관계 훈련 등의 시간이다. 이 시간을 관계 훈련에서 사용하는 영어단어인 Ice-break(얼음깨기)로 부르기도 한다.
4.2 둘째, 찬양과 경배(Praise & Worship). 셀 교회 및 셀 그룹의 찬양과 경배는 폭발적이며 역동적이다. 또한 놀랄 정도로 하나님의 임재와 현현을 경험하는 시간이다. 대체적으로 매우 흥겹고 즐거우며 구원의 기쁨이 담긴 찬양을 하다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그분에 임재에 대한 묵상을 통해 경배하며 잔잔하고 조용하게 들어간다.
4.3. 셋째, 말씀과 삶의 나눔(Word). 셀 그룹에서의 말씀과 삶의 나눔은 통상 지난 주일에 선포된 설교의 내용을 주제로 한다. 이것은 셀 교회가 의도적으로 말씀과 삶의 일치 및 일관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셀 교회는 경건의 시간(QT) 및 주일 설교와 셀 그룹의 말씀 나눔의 본문을 일치시킨다. 이 시간이 셀 그룹 모임의 생명이다. 투명한 나눔과 은사에 따른 상호 세움 및 위로, 격려, 도전과 권면 등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철저한 비밀 유지와 자기 개방의 실천이 동시에 요구된다.
4.4. 넷째, 사역(Work). 나눈 말씀과 삶을 통해 서로 기도하며 세우기 위한 사역을 한다. 아니면 불신자와 관계 맺기를 통한 전도의 기도제목을 나누며 합심해서 기도한다.
5. 현대 교회 성경공부 모델: 귀납적 성경공부
5.1. 관찰, 해석, 적용
5.2. 프락시스 성경공부